시험 종류 | 심화 | 기본 | ||||
---|---|---|---|---|---|---|
문항수(객관식) | 50문항(5지 택1) | 50문항(4지 택1) | ||||
인증등급 | 1급 | 2급 | 3급 | 4급 | 5급 | 6급 |
합격점수 | 만점의 80%이상 | 만점의 70%이상 | 만점의 60%이상 | 만점의 80%이상 | 만점의 70%이상 | 만점의 60%이상 |
회차 | 접수기간 | 시험일정 | 합격자발표 |
---|---|---|---|
51회 | 2021년 1월 11일(월) 09:00 ~ 2021년 1월 15일(금) 18:00 | 2021년 2월 6일(토) | 2021년 2월 19일(금) |
52회 | 2021년 3월 15일(월) 09:00 ~ 2021년 3월 19일(금) 18:00 | 2021년 4월 11일(일) | 2021년 4월 23일(금) |
54회 | 2021년 7월 12일(월) 09:00 ~ 2021년 7월 16일(금) 18:00 | 2021년 8월 7일(토) | 2021년 8월 20일(금) |
55회 | 2021년 8월 16일(월) 09:00 ~ 2021년 8월 20일(금) 18:00 | 2021년 9월 11일(토) | 2021년 9월 24일(금) |
회차 | 접수기간 | 시험일정 | 합격자발표 |
---|---|---|---|
51회 | 2021년 1월 11일(월) 09:00 ~ 2021년 1월 15일(금) 18:00 | 2021년 2월 6일(토) | 2021년 2월 19일(금) |
52회 | 2021년 3월 15일(월) 09:00 ~ 2021년 3월 19일(금) 18:00 | 2021년 4월 11일(일) | 2021년 4월 23일(금) |
53회 | 2021년 5월 10일(월) 09:00 ~ 2021년 5월 14일(금) 18:00 | 2021년 6월 5일(토) | 2021년 6월 18일(금) |
54회 | 2021년 7월 12일(월) 09:00 ~ 2021년 7월 16일(금) 18:00 | 2021년 8월 7일(토) | 2021년 8월 20일(금) |
55회 | 2021년 8월 16일(월) 09:00 ~ 2021년 8월 20일(금) 18:00 | 2021년 9월 11일(토) | 2021년 9월 24일(금) |
56회 | 2021년 9월 27일(월) 09:00 ~ 2021년 10월 1일(금) 18:00 | 2021년 10월 23일(토) | 2021년 11월 5일(금) |
시험구분 | 평가등급 | 평가내용 |
---|---|---|
심화 | 1, 2, 3급 | 한국사 심화과정으로서 한국사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사의 주요 사건과 개념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역사 자료를 분석하고 해석하는 능력, 한국사의 흐름 속에서 시대적 상황 및 쟁점을 파악하는 능력을 평가 |
중급 | 4, 5, 6 급 | 한국사 기본과정으로서 기초적인 역사 상식을 바탕으로 한국사의 필수 지식과 기본적인 흐름을 이해하는 능력을 평가 |
선택분야 | 시험과목 | 배점 | 출제범위 | 문항수 | 시간 (분) | 비고 |
---|---|---|---|---|---|---|
유치원 교사 | 교직논술 | 20 | ㆍ 유치원 교직·교양 전 영역 | 1 | 60 | 논술형 |
교육과정 | 80 | ㆍ 유치원 교육과정 전 영역 | 16문항 내외 | 140 | 기입형, 서술형 | |
한국사 | 한국사능력 검정시험으로 대체 | |||||
초등학교 교사 | 교직논술 | 20 | ㆍ 초등학교 교직·교양 전 영역 | 1 | 60 | 논술형 |
교육과정 | 80 | ㆍ 초등학교 교육과정 전 영역 | 16문항 내외 | 140 | 기입형, 서술형 | |
한국사 | 한국사능력 검정시험으로 대체 | |||||
특수학교(유치원) 교사 | 교직논술 | 20 | ㆍ 특수학교 교직·교양 전 영역 | 1 | 60 | 논술형 |
교육과정 | 80 | ㆍ특수교육학 전 영역 ㆍ특수교육 교육과정(유치원) 전 영역 ㆍ유치원 교육과정 전 영역 |
16문항 내외 | 140 | 기입형, 서술형 | |
한국사 | 한국사능력 검정시험으로 대체 | |||||
특수학교(초등) 교사 | 교직논술 | 20 | ㆍ 특수학교 교직·교양 전 영역 | 1 | 60 | 논술형 |
교육과정 | 80 | ㆍ특수교육학 전 영역 ㆍ특수교육 교육과정(초등) 전 영역 ㆍ초등학교 교육과정 전 영역 |
16문항 내외 | 140 | 기입형, 서술형 | |
한국사 | 한국사능력 검정시험으로 대체 |
구분 | 시험과목 | 배점 | 문항수 | 시간 (분) | 비고 |
---|---|---|---|---|---|
2차 | 교직적성 심층면접 |
※ 2차 시험에 대한 과목별 배점,문항 수, 시간, 출제 범위 등 세부 사항은 각 시·도교육청 시험 시행 공고문을 반드시 참조 |
선발 예정 분야별 1차 시험 합격자 초등학교 교사 1차 시험 합격자만 해당함 |
||
교수·학습과정안 작성 | |||||
수업실연 | |||||
영어수업 및 영어수업 실연 |
교시 | 시험과목 | 출제 범위 및 내용 |
---|---|---|
1 | 교직논술 | 모집 분야별 교직·교양 전 영역 |
2 | 교육과정 A | - 유치원: 유치원 교육과정 전 영역 - 초등학교: 초등학교 교육과정 전 영역 - 특수학교(유치원): 특수교육학 전 영역, 특수교육 교육과정(유치원) 전 영역유치원 교육과정 전 영역- 특수학교(초등): 특수교육학 전 영역, 특수교육 교육과정(초등) 전 영역, 초등학교 교육과정 전 영역 |
3 | 교육과정 B |
시험과목 | 출제 범위 및 내용 |
---|---|
교직적성 심층면접 | 교사로서의 적성, 교직관, 인격 및 소양 |
교수·학슴과정안 작성 | 교과과정의 일정 단원 또는 주제에 대한 교수·학습과정안 작성 |
수업실연 | 교사로서의 학습지도 능력과 의사소통 능력 |
영어수업실연 | 영어로 진행하는 수업 능력 |
영어면접 | 영어 의사소통 능력 |
시험 과목 및 유형 | 문항수 | 배점 | 출제 | ||||
---|---|---|---|---|---|---|---|
교육학 | 1교시 (60분) |
논술형 | 1문항 | 20점 | ㆍ교육부 고시 제2017-126호(2017.8.30.)의 부칙 제3조(경과조치)
제13호에 근거한 교육부 고시 제2016-106호(2016.12.23.)의 [별
표2] '교직과목의 세부 이수기준'에 제시된 교직이론 과목 - 교육학개론, 교육철학 및 교육사, 교육과정, 교육평가,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교육심리, 교육사회,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생활지도 및 상담 ※ 특수(중등) 과목, 비교수 교과도 동일하게 적용 |
||
전 공 | 전공A | 2교시 (90분) |
기입형 | 4문항 | 8점 | 40점 | ㆍ교육부 고시 제2017-126호(2017.8.30.)의 부칙 제3조(경과조치)
제13호에 근거한 교육부 고시 제2016-106호(2016.12.23.)의 [별표3] '교사자격종별 및 표시과목별 기본이수과목(또는 분야)'에 제시된 과목 - 교과교육학(25%~35%): 표시과목의 교과교육학(론)과 임용시험 시행 공고일 현재 국가(교육부 등)에 의해 고시되어 있는 총론 교과 교육과정까지 - 교과내용학(75%~65%): 표시과목의 교과교육학(론)을 제외한 과목 ※ 외국어 과목은 해당 외국어로 출제 ※ 특수(중등) 과목도 동일하게 적용 ※ 비교수 교과는 교과내용학에서 100% 출제 |
서술형 | 8문항 | 32점 | |||||
전공B | 3교시 (90분) |
기입형 | 2문항 | 4점 | 40점 | ||
서술형 | 9문항 | 36점 | |||||
소계 | 23문항 | 80점 | |||||
합계(배점) | 24문항 | 100점 |
시험 과목 | 시험 시간 |
---|---|
교직적성 심층면접, 교수·학습 지도안 작성, 수업능력 평가(수업실연, 실기·실험) |
시·도교육청 결정 |
시험과목 | 출제 범위 및 내용 |
---|---|
교직적성 심층면접 | 교사로서의 적성, 교직관, 인격 및 소양 |
교수·학슴과정안 작성 | 교과과정의 일정 단원 또는 주제에 대한 교수·학습과정안 작성 |
수업실연 | 교사로서의 학습지도 능력과 의사소통 능력 |
영어수업실연 | 영어로 진행하는 수업 능력 |
영어면접 | 영어 의사소통 능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