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김
>

교원임용

Ai 강좌만
송원영
교수
이론반 / 전공국어
[2025 Warming up] 송원영 국어교육론 기본이론반
강의촬영(실강) : 2024년 01월
강의수 : 54강
수강기간 : 30일
1.2배수 완강
강좌
강좌정보 보기 ▼
[2025 Warming up] 송원영 국어교육론 기본이론반
자동지급강의
  • 2024 송원영 국어교육론 최근 22개년 기출해설 특강
  • 2024 송원영 국어교육론 개념 구조도 특강
주교재 전공국어 국어교육론 기출문제 해설집(제3판) 37,800원 (↓10%)
총 주문금액
강좌 0
교재 0
0
판매 중인 상품만 주문 가능합니다.
강좌정보
강좌유의사항
(필독)

01. 본 강좌는 2026학년도 시험을 대비하기 위한 선행학습용 강좌입니다. (2024년, 진행된 기본과정)

02. 본 강좌는 할인율이 큰 강좌로 모든 강의는 1.2배수로 제공됩니다.

03. 본 강좌는 일시정지 및 유료 연장이 불가합니다. 학습 일정에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04. 환불 정책 

    - 본 강좌는  결제 후, 7일 이내의 강의 시작 전인 경우에는 100%환불이 가능합니다.

    - 하지만, 결제 후 7일 이내임에도 불구하고,강의가 시작되었다면 환불이 불가한 특별할인 강좌입니다. (신중

      하게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05. 본 강좌에 필요한 교재는 별도로 구매하셔야 합니다. 

06. 본 이벤트로 인한 할인 결제한 강의는 양도 및 매매가 불가능하며, 위반(적발)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강좌소개


교재정보
전공국어 국어교육론 기출문제 해설집(제3판)
  • 분야 : 중등 |
  • 저자 : 송원영 |
  • 출판사 : 배움 |
  • 판형/쪽수 : 190*260 / 960
  • 출판일 : 2024-01-26 |
  • 교재비 : 37,800원 (↓10%) [판매중]

* 공청회 자료에서 제시된 ‘세부 영역별 평가 내용 요소’에 의거하여 목차를 구성하고 하위 핵심 테마별로 정리하여 반복되는 기출 문제의 테마에 대한 분석과 정리가 가능하도록 함

* 기출 문제의 근거가 된 교육과정을 개정된 2022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기존 교육과정 수록

* 1차 객관식 문항의 경우, 정답 및 오답 해설을 수록하여 논리적 근거를 제공

* 기출 관련 근거를 핵심 개념과 함께 수록하여 문항 출제의 객관적 근거가 되는 학문적 배경 지식의 이해를 도움

* 동영상 강의 :  ssam.willbes.net 



이 책은 1998학년도~2023학년도까지 출제된 전공 국어 기출문제 언어 기능 영역(‘화법’, ‘독서’, ‘작문’) 과 교과교육론을 해설한 교재입니다.

주지하다시피 2014학년도부터 개편된 서답형 중심 임용 시험 제도는 2020학년도 전공 국어 시험에서는 논술형이 없어지고, 기입형 문항수가 줄어들며, 서술형 문항이 강화되었습니다. 또한 매년 중요한 기출문제의 테마는 반복되어 출제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이 발표되고, 매체 영역이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에 반영되는 등 국어 교육 환경에 있어서 많은 변화를 가져 오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처럼 변화된 전공 국어 시험 제도 속에서 수험생들이 겪는 어려움을 해소하고 교과교육론 및 언어 기능 영역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기출 문제 해설을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이 책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공청회 자료에서 제시된 ‘세부 영역별 평가 내용 요소’에 의거하여 목차를 구성하고 하위 핵심 테마별로 정리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반복되는 기출 문제의 테마에 대한 분석과 정리가 가능할 것입니다.

2. 기출 문제의 근거가 된 교육과정을 수록하였습니다. 개정된 2022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기존 교육과정에서 관련된 내용을 찾아 근거를 제시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문항 출제의 객관적 기준을 파악할 수 있을 것입니다.

3. 1차 객관식 문항의 경우, 정답 및 오답 해설을 수록하였습니다. 각 문항에서 되도록 정답인 이유와 오답인 이유를 제공하여 기출 해설의 논리적 근거를 제공하였습니다.

4. 기출 관련 근거를 핵심 개념과 함께 수록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문항 출제의 객관적 근거가 되는 학문적 배경 지식을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서답형으로 변화된 시험을 치루는 동안 기출 문제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는 것은 몇 번을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입니다. 따라서 기본 이론과 함께 기출 문제를 학습할 것을 권합니다. 기출문제는 임용 학습의 방향을 설정하는 중요한 도구이기 때문입니다.

제 교재를 반복하여 내면화함으로써 임용 학습의 양과 질을 가늠하고,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한다면, 더욱 탄탄한 기본기를 다질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관련 근거를 읽으면서 배경 지식을 쌓으며, 제시된 예시답안을 살피면서 서답형 답안 작성 요령을 습득하는 것도 좋을 것입니다.

제 강의와 교재가 교과교육론 및 언어 기능 영역의 만점을 보장하는 완벽한 길이라고 생각지 않습니다. 다만 이 책을 바탕으로 꾸준하고 충실하게 공부한다면, 막연하고 부담스러웠던 교과교육 및 언어 기능 영역에 쉽게 다가갈 수 있고, 합격을 위한 고득점의 발판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동안 격려해주시고 아껴주신 여러분들의 기대에 최선을 다해 가르치는 것이 보답하는 길이라고 생각하면서, 합격을 위한 한걸음에 함께 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1부 화법교육론


1장 화법의 본질과 특성의 이해 

   핵심테마 1. 화법의 성격 [2020 A형 기입형][2001]


2장 음성 언어 의사 소통 과정의 기능과 전략에 대한 이해

1절 듣기의 사고 과정 

   핵심테마 1. 사실적 듣기 [2008]

   핵심테마 2. 추론적 듣기 [2012]

   핵심테마 3. 비판적 듣기 [2009][1999-1]

   핵심테마 4. 듣기 과정의 점검 및 조정 [2003]

2절 말하기의 사고 과정 

   핵심테마 1. 맥락 고려・내용 선정 및 조직 [1999-1]

   핵심테마 2. 표현 및 전달 [1998][2008]


3장 화법과 태도

   핵심테마 1. 말하기 불안 [2018 A형 기입형][2013]

   핵심테마 2. 우리말 문화의 전통 이해와 활용 [2012][2009][2009 모의]


4장 담화의 유형에 대한 이해

1절 정보 전달 

   1. 정보 전달 원리

   2. 정보 전달 담화 유형

   핵심테마 1. 발표의 준비와 실행 [2014 B형 서술형][2011][2018 B형 논술형][2009 모의][2006]

2절 설득 

   1. 설득의 원리

   핵심테마 1. 논증의 원리와 방법 및 입증 책임 [2002][2014 A형 기입형]

   핵심테마 2. 설득 담화의 구조와 내용 조직의 원리 이해 및 청자를 고려한 내용 구성 [2012 2차][2009]

   핵심테마 3. 논리적 오류의 유형 이해 및 내용의 신뢰성・타당성・공정성 [2009 모의 2차]

   2. 설득 담화 유형

   ???? 연설

   핵심테마 1. 연설의 전략 지도 [2016 A형 기입형][2022 B형 서술형]

   핵심테마 2. 연설의 절차 지도 [2020 A형 서술형][2009][2011][2007]

   ???? 토의

   핵심테마 1. 토의 유형 이해 [2016 B형 서술형] [2009][2009 모의][2007]

   핵심테마 2. 의견 교환을 통한 합리적 문제 해결 [2023 A형 서술형][2019 A형 서술형]

   ???? 토론

   핵심테마 1. 타당한 근거를 들어 논박하기 [2008] 

   핵심테마 2. 논제에 따라 쟁점별로 논증을 구성하기 [2010][2009 2차][2015 A형 서술형]

   핵심테마 3. CEDA(반대신문식 토론)의 단계별 전략 지도 [2011][2018 A형 서술형][2012]

   ???? 협상

   핵심테마 1. 협상 방법 [2021 B형 서술형][2017 B형 서술형]

3절 자기 표현 및 사회적 상호작용 

   1. 자기 표현 및 사회적 상호작용 원리

   핵심테마 1. 의사소통의 장애 요인 점검 [2017 A형 서술형]

   2. 자기 표현 및 사회적 상호 작용 담화 유형

   ???? 대화

   핵심테마 1. 대화와 자아 개념 [2017 A형 기입형][2014 A형 서술형][2011]

   핵심테마 2. 대화의 원리와 언어 예절 [2019 B형 서술형][2015 A형 기입형][2013][2010][2009 모의][2005]

   핵심테마 3. 공감적 대화 [2021 A형 서술형][2012][2007]

   ???? 면접 및 면담 [2022 A형 서술형][2023 B형 서술형]


5장 화법 교육의 원리와 실제 

   핵심테마 1. 화법 교육의 원리 [2002]

   핵심테마 2. 화법 교육의 목표・내용・방법의 이해 [2000][2004]

   핵심테마 3. 화법 영역 평가의 이론과 실제 [2013][2006]




2부 독서교육론


1장 독서의 본질과 특성에 대한 이해

1절 독서의 원리 

   핵심테마 1. 독서의 특성 [2011][2013 2차][2019 A형 기입형]

   핵심테마 2. 독서 과정 모형 [2010]

   핵심테마 3. 과정 중심 독서 [2012][2008][2004][2005]

2절 독서 요인 및 독서 이론 

   핵심테마 1. 텍스트 요인(언어 요인) 및 구조 이론(텍스트 중심 이론과 모형) [2022 A형 서술형][2013][2009 모의][2005][2004][1998]

   핵심테마 2. 독자 요인(심리 요인) 및 스키마 이론(독자 중심 이론과 모형) [2021 A형 기입형][2011][2009]

   핵심테마 3. 맥락 요인(사회・문화 요인) 및 사회적 상호작용 이론(사회・문화 이론과 모형) [2017 A형 기입형]


2장 독서 과정의 기능 및 전략에 대한 이해

1절 독서 전 전략의 이해 

   핵심테마 1. 예측・질문 전략 [2019 B형 서술형][2017 B형 서술형][2010][2009][2007]

2절 독서 방법의 이해 

   핵심테마 1. 사실적 독해(내용확인)와 하위 전략 [2018 B형 논술형][2014 B형 논술형][2010][2006]

   핵심테마 2. 추론적 독해(추론)와 하위 전략 [2016 A형 서술형][1999-2]

   핵심테마 3. 비판적 독해(평가)와 하위 전략 [2020 A형 서술형][2016 B형 서술형][2012][2011 2차][2009 모의][2003][1999-1]

   핵심테마 4. 감상적 독해(감상)와 하위 전략 [2010] 2차

   핵심테마 5. 창의적 독해(창조)와 하위 전략 [2018 A형 기입형]

   핵심테마 6. 종합 [2013]

3절 독서 후 전략의 이해 

   핵심테마 1. 상호텍스트적 읽기(주제 통합적 독서) [2009][2014 A형 기입형][2023 B형 서술형]

   핵심테마 2. 읽기 과정의 점검・조정(성찰과 조절, 상위인지 전략) [2016 A형 서술형]


3장 독서 태도에 대한 이해

1절 독서의 정의적 요인에 대한 이해 

   핵심테마 1. 독서의 정의적 요인 [2015] A형 기입형

2절 독서 태도 지도 

   핵심테마 1. 독서 태도 습득 모형 [2012]

   핵심테마 2. 긍정적 독서 동기ㆍ태도 형성을 위한 독서 지도 [2023 A형 서술형][2020 B형 서술형]

   핵심테마 3. 독서 능력・흥미 발달 단계와 독서 부진[2009]


4장 텍스트에 대한 이해

1절 텍스트의 목적에 따른 글 읽기 

   핵심테마 1. 논증방법을 파악하며 주장하는 글 읽기 [2019 B형 서술형]

2절 텍스트의 개념 변화와 매체 교육 

   핵심테마 1. 매체 언어의 본질과 특성 [2011]


5장 독서 교육의 원리와 실제

1절 독서 교육의 원리 

   핵심테마 1. 독서 교육 이론의 변천 양상 [2013][2012][2011][2009 모의]

   핵심테마 2. 독서 교재 단원의 구성 [2016] B형 서술형][2014] A형 기입형][2009 모의 2차][2005][2002][2000]

2절 독서 교수・학습 모형 

   핵심테마 1. 직접 교수법/현시적 교수법 [2009 2차]

   핵심테마 2. 사회적 의미구성에 기반한 독서 토론 모형 [2019 A형 기입형]

   핵심테마 3. 내용 교과 독서 지도

   ❶ DRTA [공청회 예시문항][2015 B형 서술형]

   ❷ SQ3R [2013][2021 B형 서술형]

   ❸ KWL [2013 2차]

   핵심테마 4 학교 독서의 설계와 통합 운영 방법 [공청회 예시문항]

3절 독서 영역 평가의 이론과 실제 

   핵심테마 1. 독서 평가 결과의 해석 [2022 B형 서술형][2010][2006]

   핵심테마 2. 다양한 독서 평가 방법 [2016 A형 기입형][공청회 예시문항][2008][2007][1998]




3부 작문교육론


1장 작문의 본질과 특성에 대한 이해

1절 작문의 원리 

   핵심테마 1. 작문의 기능 [공청회 예시문항]

   핵심테마 2. 작문 능력 발달 [2022 B형 기입형]


2장 작문 과정의 기능 및 전략에 대한 이해

1절 작문 과정별 문제 해결 전략 

   핵심테마 1. 문제 해결 과정으로서 작문의 절차 [2018 A형 기입형][2012][2005][2002]

2절 작문 과정에 따른 기능 및 전략 

   핵심테마 1. 맥락 고려(상황 분석) [2013 2차][2010 2차][2009][2016 A형 기입형][2020 A형 서술형]

   핵심테마 2. 내용 생성 및 내용 조직 [2020 B형 서술형][2020 A형 서술형][2018 A형 기입형][2016 A형 기입형][2010 2차][2009][1999-2][1999-1]

   핵심테마 3. 초고 쓰기 [2023 A형 기입형]

   핵심테마 4. 고쳐쓰기 [2022 A형 기입형][2021 B형 기입형][2010][2009][2007][2006][2002]

   핵심테마 5. 상위인지 [2011][2011 2차]


3장 글의 유형에 대한 이해

1절 정보 전달 글 쓰기 

   핵심테마 1. 설명문 쓰기 [2012][2008]

   핵심테마 2. 기사문 쓰기 [2003]

2절 설득적인 글 쓰기 

   핵심테마 1. 논증 글 쓰기 [2017 B형 서술형][2015 B형 논술형][2012 2차]

   핵심테마 2. 건의문 쓰기 [2021 A형 서술형][2012][2008]

   핵심테마 3. 시평 쓰기 [2013]

3절 친교 및 정서 표현 글 쓰기 

   핵심테마 1. 감상문/독후감 쓰기 [2006]

4절 학습을 위한 글쓰기 

   핵심테마 1. 보고문/보고서 쓰기 [2019 A형 서술형][2004]


4장 작문 교육의 원리와 실제

1절 작문 이론 및 작문 교육 이론 

   핵심테마 1. 다양한 작문 이론 및 작문 교육 이론 [2020 B형 기입형][2017 A형 기입형][2014 A형 기입형][2013]

   핵심테마 2. 형식주의 [2016 A형 서술형][2010]

   핵심테마 3. 인지주의 [2019 모의][2009][2023 B형 서술형]

   핵심테마 4. 사회적 구성주의 [2012 2차][2012]

   핵심테마 5. 대화주의 [2021 A형 서술형]

2절 작문 교수・학습 이론과 방법 

   핵심테마 1. 작문 지도 접근 방식

   ❶ 인지주의적 접근 - 능숙한 필자・미숙한 필자 [2011][2014 A형 서술형][2023 B형 기입형]

   ❷ 장르중심적 접근 [2019 A형 기입형][2015 A형 기입형]

   핵심테마 2. 작문 교수・학습 모형

   ❶ 작문 워크숍 [2018] B형 서술형[2013][공청회 예시문항][2010]

   ❷ 현시적 교수법 [2020 A형 서술형]

   핵심테마 3. 독서・작문 통합 활동 [2013 2차]

   핵심테마 4. 작문 지도의 실제 [2009 모의][2011]]

3절 작문 교재 재구성 

   핵심테마 1. 작문 이론을 반영한 작문 교재 재구성 [2017 A형 서술형]


5장 작문 평가의 원리와 실제

1절 작문 평가의 원리 

   핵심테마 1. 바람직한 작문 평가의 기준 설정 [2011][2009 모의][2013]

2절 작문 평가 방법 

   핵심테마 1. 결과 평가 [2019 B형 서술형][2016 B형 서술형][2011 2차]

   핵심테마 2. 과정 평가 [2021 A형 서술형][2018 B형 서술형][2010][공청회 예시문항]

   핵심테마 3. 평가 주체의 다양화 [2022 A형 서술형][2005]

강의목차
No| 강의명| 무료보기| 자료| 강의시간
1회 1강 01월 04일 : [국어교육론] 오리엔테이션 69분
1회 2강 01월 04일 : [국어교육론] 목차 71분
1회 3강 01월 04일 : [국어교육론] p16 화법의 본질 90분
1회 4강 01월 04일 : [국어교육론] p61 정보전달담화유형 62분
1회 5강 01월 04일 : [국어교육론] p64 발표 전 준비단계에서 청자 분석 66분
1회 6강 01월 04일 : [국어교육론] p76 매체 활용 표현 29분
2회 1강 01월 11일 : [국어교육론] 형성평가 1회차 67분
2회 2강 01월 11일 : [국어교육론] p81 발표 듣기 지도 74분
2회 3강 01월 11일 : [국어교육론] p88 동기화 단계를 활용한 내용 조직 68분
2회 4강 01월 11일 : [국어교육론] p98 설득 단화 유형-연설 88분
2회 5강 01월 11일 : [국어교육론] p105 감정적 설득 전략 96분
2회 6강 01월 11일 : [국어교육론] p126 토의 진행과정 27분
3회 1강 01월 18일 : [국어교육론] 형성평가 2회차 40분
3회 2강 01월 18일 : [국어교육론] p117 의견 교환을 통한 합리적 문제 해결 97분
3회 3강 01월 18일 : [국어교육론] (자료1) 논제의 필수쟁점을 쟁점별로 구성 81분
3회 4강 01월 18일 : [국어교육론] p152 논제의 필수 쟁점 121분
3회 5강 01월 18일 : [국어교육론] p190 대화의 원리와 언어예절 111분
4회 1강 01월 25일 : [국어교육론] 형성평가 3회차(1) 85분
4회 2강 01월 25일 : [국어교육론] 형성평가 3회차(2) 60분
4회 3강 01월 25일 : [국어교육론] p207 갈등문제 처리의 대화 방법 98분
4회 4강 01월 25일 : [국어교육론] p218 면접·면담 39분
4회 5강 01월 25일 : [국어교육론] p165 협상의 본질과 절차 70분
4회 6강 01월 25일 : [국어교육론] p180 친교 및 정서표현 49분
5회 1강 02월 01일 : [국어교육론] p256 독서의 본질과 특성 56분
5회 2강 02월 01일 : [국어교육론] p267 독서 과정 모형과 과정 중심 독서 88분
5회 3강 02월 01일 : [국어교육론] p290 텍스트 요인 및 구조이론 77분
5회 4강 02월 01일 : [국어교육론] p260 의미구성 56분
5회 5강 02월 01일 : [국어교육론] p266 독서관의 변화 70분
5회 6강 02월 01일 : [국어교육론] p273 전략중심읽기교육 69분
6회 1강 02월 08일 : [국어교육론] 형성평가 5회차 43분
6회 2강 02월 08일 : [국어교육론] p290 텍스트 요인 및 구조 이론 83분
6회 3강 02월 08일 : [국어교육론] p322 사실적 독해 78분
6회 4강 02월 08일 : [국어교육론] p332 요약하기 지도 56분
6회 5강 02월 08일 : [국어교육론] p334 추론적 독해와 하위전략 62분
7회 1강 02월 15일 : [국어교육론] 형성평가 6회차 53분
7회 2강 02월 15일 : [국어교육론] p314 예측, 질문하기 83분
7회 3강 02월 15일 : [국어교육론] p341 비판적 독해와 하위전략 52분
7회 4강 02월 15일 : [국어교육론] p347 복합양식으로 구성된 글과 자료의 비판적 수용 47분
7회 5강 02월 15일 : [국어교육론] p361 독서 후 46분
7회 6강 02월 15일 : [국어교육론] p369 상위 인지 읽기 방법 64분
7회 7강 02월 15일 : [국어교육론] p378 독서 태도 지도 40분
8회 1강 02월 22일 : [국어교육론] 형성평가 7회차 57분
8회 2강 02월 22일 : [국어교육론] p438 독서 교재론 70분
8회 3강 02월 22일 : [국어교육론] p444 독서 교수·학습모형 77분
8회 4강 02월 22일 : [국어교육론] p453 직접읽기사고활동법 98분
8회 5강 02월 22일 : [국어교육론] p475 내용교과학습을 위한 독서지도 58분
8회 6강 02월 22일 : [국어교육론] p490 독서평가의 목적과 방법 56분
9회 1강 02월 25일 : [국어교육론] p576 글의 유형에 대한 이해 63분
9회 2강 02월 25일 : [국어교육론] p592 설득 76분
10회 1강 02월 29일 : [국어교육론] p509 작문의 본질과 특성 68분
10회 2강 02월 29일 : [국어교육론] p658 작문지도 전략 84분
10회 3강 02월 29일 : [국어교육론] p678 작문 워크숍 88분
10회 4강 02월 29일 : [국어교육론] p698 총체적 평가 80분
10회 5강 02월 29일 : [국어교육론] p515 작문전략 -종강- 98분
직장인반 수강 안내
  • 예) 40일 강좌 수강시
    - 수강 시간 : 평일 18~06시만 수강 / 주말, 공휴일 24시간 수강
    - 수강 기간 : 원래 수강 기간 X 1.4배수(40일 X 1.4 = 56일)
    - 수강 중지 : 3회. 3회의 합은 56일까지
    - 수강 연장 : 3회. 1일 연장 수강료는 원래 수강 기간 40일 기준(강의 종료일까지만 연장 가능)
    - 수강 환불 : 환불일수는 원래 수강 기간 40일 기준(수강 중지시 환불 불가)
    - 직장인반은 일반강의로 변경이 안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