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교재는 배송비가 지원되지 않는 교재 입니다.>
* 중등음악임용 종합대비!
- 구조화 전문교재
- 악보와 이론의 통합정리
- 종음셋 시스템 : 한줄정리 + 음원라이브러리
공부를 시작하는 사람들의 막연함, 그리고 넘치는 정보 홍수에서 소화하기 힘든 자료들로 버거워 하는 수험생들의 불안한 마음을 되집어 보았습니다.
가장 먼저 떠오르는 생각은 1-2년 안에 끝내려면 어떤 공부를, 어떻게 해야할지에 대한 고민이었습니다. 시험에 단골로 출제되는 다양한 개념요소의 비교분석문제를 효과적으로 풀기위해서는 지식이 머릿속에 “구조화”되어 있어야 합니다.
저자가 교사가 된 이후에도 임용 강사로서 경력을 쌓기 위해 임용고시를 보았을 때 바쁜 준비 시간 속에서 여러 차례 고득점을 받게 해주었던 노트필기와 자료들을 수험자 입장에서 다시 정리한 결과물이 바로 이 “종음셋”입니다.
수험자의 마음을 담아 이 저서를 집필하면서 아래 두 가지에 가장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 “시간 절약”
- “효과적이고 인지적인 자료 제시”
아직도 완벽한 교재를 만들기 위해 매해 재교정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올해로 4번째 교정이 이뤄진 종음셋이 음악교사를 꿈꾸는 모든 이들에게 귀한 자료가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4) 음악교육론
제1장 음악교육 역사의 이해(서양의 음악교육사) 8
제2장 음악교육 철학의 이해 10
01 음악교육의 철학적 기초 10
02 전통철학- 서양,우리나라 전통적 음악교육 철학 11
03 교육철학과 음악교육 12
제3장 미학 15
01 전통미학 16
02 현대 음악교육 철학자들의 미학적 관점 18
부록 1. 엘리엇 ‘실천주의’음악교육 vs 리머 ‘경험주의’음악교육 23
부록 2. 리머 개념적 이해와 예술적 감지의 차이 24
제4장 심리학(음악교육의 심리학적 기초) 26
01 교육심리학과 음악교육 27
02 음악심리학과 음악교육 29
부록 3.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발달단계 42
제5장 교육과정 43
01 음악과 교육과정의 원리 43
02 음악과 교육과정 변천(1차~2015) 45
03 포괄적 음악성 52
⦁2009&2015 교육과정 각론 비교 56
제6장 교수방법 60
01 초창기 음악교육론자(유럽) 60
02 구성주의 학습 92
03 협동학습 94
04 20세기 후반 음악교육 (미국중심) 96
제7장 교육공학 133
01 ICT 교육 133
02 컴퓨터 음악 134
03 프로그램 135
04 저장 매체 139
05 저작권 140
제8장 평가 144
01 평가의 요소 144
02 음악 평가 일반 145
03 평가의 단계 146
04 수행평가 146